2/24,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경기와 AI 내러티브의 전환 가능성”-------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소비심리 등 주요 경제지표 부진 및 기대인플레이션 급등이 만들어낸 스태그플레이션 불안감으로 급락(다우 -1.7%, S&P500 -1.7%, 나스닥 -2.2%).b. 그간의 정황을 살펴보면 현재 “골디락스”라는 미국 경기의 지배적인 내러티브가 약화된 것이지, “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단정짓는 것은 시기상조c. 국내 증시는 미국 금요일 급락 여파, 주중 미국 주요 경제지표, 엔비디아 실적 등의 이벤트를 치르면서, 그간의 단기 랠리 부담을 소화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 -------0.한국 증시는 1) 금요일 미 증시 급락 여파, 2) 주요 연준 인사들의 경기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발언, 3) 미국 ..
2025. 2. 24.
2/21, 장 시작 전 생각: 갈아타기, 키움 한지영
- 다우 -1.0%, S&P500 -0.4%, 나스닥 -0.5%- 팔란티어 -5.2%, 월마트 -6.5%, 카바나 -12.1%, 엔비디아 +0.6%- 미 10년물 금리 4.50%, 달러 인덱스 106.2pt, 달러/원 1,432.7원1.어제 미국 증시도 밀렸네요.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이 장기물 국채 발행은 아직 늘릴 생각이 없다면서 국채시장의 수급 우려를 일축시키고,그에 따라 미 10년물 금리도 하락하고, 달러 인덱스도 약세를 보이는 등 매크로 가격의 부담은 덜어 내긴 했습니다.하지만 특정 종목이나 지수 단에서 밸류에이션 부담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다는 점이 어제 미국 증시의 취약함을 만들어 낸 모습입니다.시장 수급이 쏠렸던 AI 소프트웨어 대장주인 팔란티어와 메타 주가가 부진한 것도 체감 상 투자심리를 ..
2025. 2. 21.
2/19, 장 시작 전 생각: 약세장의 촉매 vs 강세장의 촉매, 키움 한지영
- 다우 +0.02%, S&P500 +0.24%, 나스닥 +0.07%- 인텔 +16.1%, 메타 -2.8%, 테슬라 -0.5%, 엔비디아 +0.4%- 미 10년물 금리 4.55%, 달러 인덱스 106.9pt, 천연가스 4.0달러(+7.3%)1.미국 증시는 장 막판 매수세 유입 등에 힘입어 전약후강의 혼조세로 마감했네요.계속 TSMC의 인수설이 나오고 있는 인텔이 주가가 16%대 급등했고, 3분기 낸드 가격 반등 기대감이 생성되면서 마이크론도 7%대 상승하는 등 반도체주는 분위기가 괜찮았습니다.그리고 연초 이후 전세계 증시 상황을 돌이켜보면, 나스닥(YTD +3.8%) 포함 미국보다 코스피(+9.5%), 코스닥(+14.1%), 홍콩 항셍(+14.5%), 독일 닥스(+14.8%) 등 비 미국 국가들이 더 ..
2025. 2. 19.
2/18, 장 시작전 생각: 요상한 그림, 키움 한지영]
- 미국 증시 휴장, 독일 +1.3%, 유로스톡스50 +0.5%- 미 10년물 금리 4.48%, 달러 인덱스 106.6pt, 달러/원 1,442.2원1.미국 증시는 대통령의 날로 휴장했고, 유럽 증시는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트럼프가 추진 중인 러-우 종전 협상이 유럽과 우크라이나를 제외하고 진행되는 이상한(?) 그림이 그려지고 있음에도,이것이 나토 회원국들의 방위비 증액의 필요성으로 이어지면서(잠재적인 지정학 충돌 대비), 방산주들이 동반 강세를 보인 게 어제 유럽 증시의 상승 동력이 됐네요.아이러니하게도, 시장이 트럼프에 대해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 같습니다.이전에 공약이나 발언들을 통해 예상할 수 있었던 행보와 달리, 기습적인 혹은 말 바꾸기 전략이 종종 출몰하고 있다는 것인데,..
2025. 2. 18.
2/17,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매크로가 만들어내는 차별화 장세”-------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미국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 속 1월 소매판매 쇼크, 산업생산 호조 등으로 혼조세 마감(다우 -0.37%, S&P500 -0.01%, 나스닥 +0.41%).b. 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말 바꾸기 행보는 주중 증시의 변동성을 계속 만들어 내겠지만, 실제 관세 부과 수위는 증시 방향성을 훼손시킬 정도로 진행되지 않을 것c. 국내 증시는 단기 상승에 따른 피로도가 일시적으로 누적되어 있는 만큼, 이번주에는 숨고르기 장세 속 개별 업종 및 종목 별 차별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0.한국 증시는 1) 트럼프 관세 뉴스 플로우, 2) 1월 FOMC 의사록 및 시카고 연은 등 연준 인사들 발언, 3) 주요국 제조업 PMI,..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