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39

2/24,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경기와 AI 내러티브의 전환 가능성”-------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소비심리 등 주요 경제지표 부진 및 기대인플레이션 급등이 만들어낸 스태그플레이션 불안감으로 급락(다우 -1.7%, S&P500 -1.7%, 나스닥 -2.2%).b. 그간의 정황을 살펴보면 현재 “골디락스”라는 미국 경기의 지배적인 내러티브가 약화된 것이지, “경기침체”,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단정짓는 것은 시기상조c. 국내 증시는 미국 금요일 급락 여파, 주중 미국 주요 경제지표, 엔비디아 실적 등의 이벤트를 치르면서, 그간의 단기 랠리 부담을 소화하는 흐름을 보일 전망 -------0.한국 증시는 1) 금요일 미 증시 급락 여파, 2) 주요 연준 인사들의 경기와 인플레이션에 대한 발언, 3) 미국 .. 2025. 2. 24.
2/21, 장 시작 전 생각: 갈아타기, 키움 한지영 - 다우 -1.0%, S&P500 -0.4%, 나스닥 -0.5%- 팔란티어 -5.2%, 월마트 -6.5%, 카바나 -12.1%, 엔비디아 +0.6%- 미 10년물 금리 4.50%, 달러 인덱스 106.2pt, 달러/원 1,432.7원1.어제 미국 증시도 밀렸네요.스캇 베센트 재무장관이 장기물 국채 발행은 아직 늘릴 생각이 없다면서 국채시장의 수급 우려를 일축시키고,그에 따라 미 10년물 금리도 하락하고, 달러 인덱스도 약세를 보이는 등 매크로 가격의 부담은 덜어 내긴 했습니다.하지만 특정 종목이나 지수 단에서 밸류에이션 부담을 완전히 극복하지 못했다는 점이 어제 미국 증시의 취약함을 만들어 낸 모습입니다.시장 수급이 쏠렸던 AI 소프트웨어 대장주인 팔란티어와 메타 주가가 부진한 것도 체감 상 투자심리를 .. 2025. 2. 21.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2/21 Bloomberg 1) BOJ 인상 기대에 엔화 점프일본은행(BOJ)이 곧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추측 속에 엔화 강세가 가팔라졌음. 달러-엔 환율은 한때 1.4% 가까이 밀려 12월 초 이래 가장 낮은 149.40까지 내려갔음. 일본 국채 10년물 금리는 2009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음. 우에다 BOJ 총재-이시바 총리 정례 회동에서 “최근 엔화 강세와 일본 채권 금리 상승에 대한 논의가 없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당국이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 더욱 편안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TD은행은 진단2) 美 베센트, 장기 국채 매각 늘리기까지는 ‘아직 멀어’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높은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양적긴축(QT) 등 장애물을 고려할 때 국채 발행에서 장기물 비중 확대까지는 아직 요원하다고 언급. ‘텀.. 2025. 2. 21.
2/19, 장 시작 전 생각: 약세장의 촉매 vs 강세장의 촉매, 키움 한지영 - 다우 +0.02%, S&P500 +0.24%, 나스닥 +0.07%- 인텔 +16.1%, 메타 -2.8%, 테슬라 -0.5%, 엔비디아 +0.4%- 미 10년물 금리 4.55%, 달러 인덱스 106.9pt, 천연가스 4.0달러(+7.3%)1.미국 증시는 장 막판 매수세 유입 등에 힘입어 전약후강의 혼조세로 마감했네요.계속 TSMC의 인수설이 나오고 있는 인텔이 주가가 16%대 급등했고, 3분기 낸드 가격 반등 기대감이 생성되면서 마이크론도 7%대 상승하는 등 반도체주는 분위기가 괜찮았습니다.그리고 연초 이후 전세계 증시 상황을 돌이켜보면, 나스닥(YTD +3.8%) 포함 미국보다 코스피(+9.5%), 코스닥(+14.1%), 홍콩 항셍(+14.5%), 독일 닥스(+14.8%) 등 비 미국 국가들이 더 .. 2025. 2. 19.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2/18 Bloomberg 1) 연준 인사들, “현재 정책 좋은 상태” 평가패트릭 하커 미국 필라델피아 연은 총재는 경제가 예상대로 전개된다면 향후 2년 내 2% 인플레이션으로 되돌아가기에 현재 정책이 적절한 위치에 있다고 언급. 하커 총재는 통화정책은 “여전히 제약적” 수준이라고 평하면서 장기적으로 금리는 계속 하락할 것으로 예상. 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대비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큰 상승세를 기록한 것에 대해서는 큰 의미를 부여하기 보다는 근본적 추세를 봐야한다고 지적. 이런 가운데, 이날 미셸 보우만 연준 이사 역시 근원 인플레이션 지표가 높지만 물가 변동률은 올해 더욱 완만해질 것이라면서 인플레이션율을 2% 목표로 낮추는 과정은 “느리고 변동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고 언급2) 유럽연합, 공동채 발행 등 국방비.. 2025. 2. 18.
잭 베트리아노, Jack Vettriano (1952~ ) 스코틀랜드 출신의 화가 '잭 베트리아노'는, 광산의 기술자로 일하며 틈틈이 그림을 그리다가 이제는 대중의 사랑을 독차지하는 작가가 되었습니다.영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작품은 'The Singing Butler (노래하는 집사)'.이 그림을 자세히 보면, 가운데에서 춤추는 남녀보다 우산 들고 양쪽에 서 있는 하녀와 집사의 움직임이 더 율동적입니다.작가는 20C 초 영화에 나올 것 같은 주인공들의 로맨틱한 욕망을, 은근하면서도 강렬하게 표현했답니다.작품 속 주인공들은, 통속적인 누아르 영화의 한 장면을 폼생폼사 컨셉으로 연출하고 있답니다. 2025. 2. 18.
2/18, 장 시작전 생각: 요상한 그림, 키움 한지영] - 미국 증시 휴장, 독일 +1.3%, 유로스톡스50 +0.5%- 미 10년물 금리 4.48%, 달러 인덱스 106.6pt, 달러/원 1,442.2원1.미국 증시는 대통령의 날로 휴장했고, 유럽 증시는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트럼프가 추진 중인 러-우 종전 협상이 유럽과 우크라이나를 제외하고 진행되는 이상한(?) 그림이 그려지고 있음에도,이것이 나토 회원국들의 방위비 증액의 필요성으로 이어지면서(잠재적인 지정학 충돌 대비), 방산주들이 동반 강세를 보인 게 어제 유럽 증시의 상승 동력이 됐네요.아이러니하게도, 시장이 트럼프에 대해 피로감을 느낄 수 있는 부분이 바로 이 지점 같습니다.이전에 공약이나 발언들을 통해 예상할 수 있었던 행보와 달리, 기습적인 혹은 말 바꾸기 전략이 종종 출몰하고 있다는 것인데,.. 2025. 2. 18.
밀튼 에브리, Milton Avery (1893~1965) 거의 독학으로 미술공부를 한 미국의 '밀튼 에브리'는, 마티스의 열렬한 팬이었습니다. 사물을 색과 면으로 단순화시켜 시적으로 표현한 그의 그림은, 100년 전 미국 추상회화의 대표작들이랍니다. 부드러운 색감을 보는 것만으로도 마음이 평온해지는 화가 '밀톤 에브리'는, '사각형의 색깔덩어리 화가 - 로스코'의 스승이기도 하죠.마크 로스코가 넓은 캔버스를 색면만으로 채워 감동을 주었다면, 그의 스승 '밀톤'은 넓은 색면으로 풍경화와 정물화 초상화 등을 그렸습니다. 2025. 2. 17.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_2/17 Bloomberg 1) 트럼프-푸틴 정상회담 추진미국과 러시아의 고위급 정부인사들이 이르면 이달 말 트럼프-푸틴 정상회담을 추진할 계획.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자국의 핵심 광물 접근권과 관련해 안보 보장 및 투자와 연계되어야 한다며 미국이 제안한 협정 초안을 거부하고, 또한 우크라이나가 배제된 그 어떤 거래도 받아들일 수 없음을 분명히 했음. 미국이 우크라이나 평화협상에서 유럽을 패싱하고 있다는 조짐 속에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긴급 유럽 정상회의를 소집. 유럽 지도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와의 평화 협상에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2) 美 1월 소매판매 실망지난달 미국의 소매판매가 혹한과 산불 영향으로 2023년 3월래 가장 큰 폭인 전월비 0.9% 급감. 자동차와 가구점 등의 판매 부진에 시장 예상치 0.2.. 2025. 2. 17.
2/17,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매크로가 만들어내는 차별화 장세”-------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미국 증시는 관세 불확실성 속 1월 소매판매 쇼크, 산업생산 호조 등으로 혼조세 마감(다우 -0.37%, S&P500 -0.01%, 나스닥 +0.41%).b. 관세에 대한 트럼프의 말 바꾸기 행보는 주중 증시의 변동성을 계속 만들어 내겠지만, 실제 관세 부과 수위는 증시 방향성을 훼손시킬 정도로 진행되지 않을 것c. 국내 증시는 단기 상승에 따른 피로도가 일시적으로 누적되어 있는 만큼, 이번주에는 숨고르기 장세 속 개별 업종 및 종목 별 차별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0.한국 증시는 1) 트럼프 관세 뉴스 플로우, 2) 1월 FOMC 의사록 및 시카고 연은 등 연준 인사들 발언, 3) 주요국 제조업 PMI,.. 2025.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