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 장 시작 전 생각: 이짝 동네에서 저짝 동네, 키움 한지영
- 다우 +0.7%, S&P500 +0.4%, 나스닥 +0.2%- 엔비디아 +5.4%, 알파벳 -7.3%, AMD -6.3%, 팔란티어 -2.4%, ARM +6.8%(시간외 -7.2%)- 미 10년물 금리 4.42%, 달러 인덱스 107.5%, 달러/원 1,445.0원1. 알파벳, AMD 주가 쇼크로 하락 출발했던 미국 증시는 장중에 이를 만회하며 상승세로 마감했네요.매일 곳곳을 휘젓고 다니던 트럼프가 어제 상대적으로 잠잠하다보니, 주식시장도 숨 한번 돌렸습니다.중국이 보복 관세를 부과한 것을 두고 조만간 시진핑이랑 전화 통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지난번 멕시코, 캐나다 관세 부과 때처럼 실제 관세가 발효되는 10일 이전에 결과물이 나오겠네요. 전세계 일어나는 모든일을 가장 빨리 반영하는 게 주식시장이..
2025. 2. 6.
2/4, 장 시작 전 생각: 트럼프와 주식시장, 키움 한지영
- 다우 -0.3%, S&P500 -0.8%, 나스닥 -1.2%- 엔비디아 -2.8%, 테슬라 -5.1%, 애플 -3.4%, 팔란티어 +1.5%(시간외 +22%대)- 달러 인덱스 108.3pt, 달러/원 1,461.5원, 미 10년물 금리 4.55%1.아시아 증시의 살벌함과는 달리, 미국 증시는 낙폭을 축소한 채로 마감했네요.트럼프와 멕시코 대통령간 대화를 통해 불법이민 및 펜타닐 유통을 막기위한 국경수비대를 설치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멕시코 관세 부과를 1개월 연기했다는 소식이 증시 안도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장 마감 후에는 캐나다에 대한 관세도 연기하기로 발표했네요)1월 ISM 제조업 PMI도 예상보다 잘 나왔다는 점도 주가 회복에 힘을 보탰습니다.엔비디아, 테슬라, 애플 등 M7주들도 낙폭을 축소했..
2025. 2. 4.
2/3,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딥시크, 고용 등 대형 이벤트의 한 주”-------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12월 PCE 물가 컨센 부합에도 트럼프의 관세 소식에 장 초반의 상승폭을 모두 반납하며 하락 마감(다우 -0.8%, S&P500 -0.5%, 나스닥 -0.3%)b. 관세 부과의 현실화는 피할수 없게 되었으나, "미국의 관세 부과 -> 타 국가의 보복 대응 -> 추가 관세 부과 -> 무역분쟁 전면 확산”과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를 주가에 반영하기엔 시기상조c. 국내 증시는 미국발 불확실성(트럼프 관세, 고용 등)에 노출되면서 변동성은 높아지겠으나, 주가 복원력으로 인해 지수 하단은 제한된 채 업종 별 차별화 장세를 연출해 나갈 전망-------0.한국 증시는 1) 트럼프 관세 뉴스 플로우 확산 여부, 2) 미국의 1..
2025.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