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1, 장 시작 전 생각: 딥시크가 불어넣은 긴장감 , 키움 한지영
- 다우 +0.4%, S&P500 +0.5%, 나스닥 +0.3%- 엔비디아 +1.0%, 테슬라 +2.9%, 메타 +1.6%, MS -6.2%, 애플 -0.7%(시간외 -1.4%)- 미 10년물 금리 4.51%, 달러 인덱스 107.9pt, 달러/원 1,445.6원1. 미국 증시는 전일의 하락을 딛고 반등을 하긴 했지만, 불안불안한 기운은 쉽게 사그라들지 않는거 같습니다.수요일 장 끝나고 실적 발표한 메타와 MS는 엇갈린 주가 흐름을 보였고, 조금전 실적을 발표한 애플은 중국 판매 부진 소식에 잠시 밀렸다가, 컨콜에서 긍정적인 이야기들이 나오면서 시간외에서 3%대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네요.이들 빅테크 실적이 중립 이상의 결과를 가져다 준 점은 안도 요인이기는 한데,사실 딥시크가 몰고온 화제성(엔비디아 독주..
2025. 1. 31.
1/24, 장 시작 전 생각: 예후는 다음주, 키움 한지영
- 다우 +0.9%, S&P500 +0.5%, 나스닥 +0.2%- 엔비디아 +0.1%, 마이크론 -4.0%, 테슬라 -0.7%,- 미 10년물 금리 4.65%, 달러 인덱스 107.9pt, 달러/엔 156.0엔1.장 초반 부진한 흐름을 보였던 미국 증시는 또 다시 트럼프가 운전대를 잡으면서 소폭이나 상승세로 마감했네요.다보스 포럼에서 트럼프가 한 이야기들이 증시 전반에 걸쳐 온기를 불어넣었습니다.취임식 당시에 언급되지 않았던 내용들이 등장했는데,* 연준에게 즉각적인 금리인하 요구* 이거 파월의장이랑도 이야기할거고, 금리는 많이 내려야할 것 * 역사상 최대 규모의 감세를 추진* 미국에서 제품 안 만들면 관세 맞을 것* 산유국들에게 유가 인하 요청이정도가 눈에 띄는 부분이었네요.2.위의 재료를 버무려보면, ..
2025. 1. 24.
1/23, 장 시작 전 생각: 트레이딩 vs 인베스팅, 키움 한지영
- 다우 +0.3%, S&P500 +0.6%, 나스닥 +1.3%- 엔비디아 +4.4%, 오라클 +6.7%, 넷플릭스 +9.7%, 테슬라-2.1%- 미 10년물 금리 4.61%, 달러 인덱스 108.0pt, 달러/원 1,436.6원.1.나스닥이 2만선을 회복했네요.작년 11월 이후 미국 증시를 끌고왔던 테슬라가 최근 힘이 빠지긴 했지만,스타게이트 모멘텀을 받은 AI 주들이 제 때 교대를 해줬습니다.어제의 분위기는 대부분 기업들이 AI만 묻어도, AI만 스치기만해도 주가 상승의 과실을 누린 하루였습니다. 올해에도 MS, 알파벳 등 빅테크들의 CAPEX가 얼마나 확장될 수 있을지 기대와 우려가 교차하고 있는 상황이었는데,타이밍이 한번 기막힙니다.2.물론 트럼프는 어제도 중국 10% 관세 부과 이야기를 꺼냈지만..
2025. 1. 23.
라파엘로 (1483~1520)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3대 화가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중 막내인, '라파엘로'는 바티칸궁전의 벽화 "아테네 학당"에다 54명의 철학자를 담았습니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피타고라스 등 기라성같은 학자들 틈에다 '다 빈치'와 '미켈란젤로'를 교묘히 그려넣었답니다. 뿐만 아니라 오른쪽 구석에는 자기 자신을, 심지어 애인까지도~성모(마돈나) 그림을 많이 남겼는데, "시스틴의 성모" 그림 아래에 있는 꼬마천사는 지금 커피 모델로 활동중이랍니다.또한 라파엘로는 자유분방한 연애를 즐겼습니다.약혼녀도 있었지만, "빵집 딸내미 (La Fornarina)" 와의 연애에 열중했죠. 그림 속 '빵녀'는 라파엘로 이름의 팔찌를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일을 쓴 여인"에도 등장하고, "시스틴의 성모" 역시 ..
2025. 1. 22.
1/22, 장 시작 전 생각: 트럼프는 트럼프, 시장도 시장, 키움 한지영
- 다우 +1.2%, S&P500 +0.9%, 나스닥 +0.6%- 테슬라 -0.6%, 애플 -3.2%, 엔비디아 +2.3%, 오라클 +7.1%, 언유주얼 머신 +13.9%, 아이온큐 +16.5%- 미 10년물 금리 4.57%, 달러 인덱스 107.7pt, 달러/원 1,432.0원1.미국 증시는 트럼프 관세 부과 불확실성을 극복하면서 상승했네요.어제 국내 증시 장중에 관세 발언으로 다시한번 무역분쟁의 그늘이 짙게 깔리기도 했지만,여러 맥락과 정황을 놓고 봤을 때 관세 수위와 속도가 제한될 것이라는 전망이 재차 우위를 점했습니다.오히려 오픈AI와 오라클 합작 벤처로 대규모 AI 인프라 투자 계획에 나설 것이라는 점에 더 주목하는 등 아직까지는 관세 리스크보다는 여타 정책 기대감이 앞서고 있는 모습이네요.2...
2025. 1. 22.